Solidarity in which people gather and unite together has appeared in various forms throughout human history and there are examples of music joining in the process of solida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olidarity through cases related to songs while looking at music as a social product and to explore how music works and affects the process of solidarity. To this end,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solidarity, various types of solidarity were examined. The mechanism of music acting on solidarity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songs especially in terms of solidarity among genres of music were examined. In addition, to understand the various relationships and aspects of music and solidarity, three cases were selected and studied: an international multi-music project Playing For Change, the Rwandan genocide and music and the Korean resistance movement and folk songs. In each case, the background and origin of the solidarity, the aspect of solidarity, the form of music related to solidarity, and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music in the process of solidarity were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usic could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solidarity that connected and united people to some extent.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perspectives on music and solidarity will be produced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various fields of study will be triggered. 사람들이 함께 모이고 결속하는 연대는 인류의 역사를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고 연대의 과정에 음악이 함께 한 예도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을 사회적 산물로 조망하면서 노래와 관련된 사례를 통해 음악과 연대의 관계를 파악하여, 연대의 과정에 음악이 어떤 원리로 작용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대의 개념과 정의, 연대의 여러 유형을 살펴보고, 음악이 연대에 작용하는 원리 그리고 음악의 장르 중 특히 연대와 관련된 측면에서 노래의 특징과 속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음악과 연대의 다양한 관계와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국제적 멀티음악 프로젝트인 변화를 위한 연주(Playing For Change), 르완다 대학살과 음악 그리고 한국의 저항운동과 민중가요 등 세 사례를 선정해 고찰하였다. 각 사례에서 연대가 형성된 배경 및 발단, 연대의 양상, 연대와 관련된 음악의 형태, 연대의 과정에서 음악의 역할과 시사점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은 사람들을 연결하고 결속시키는 연대의 과정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음악과 연대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양산되어 여러 학문 분야의 학제 간 연구가 촉발되기를 기대한다.